전체 글 245

재고는 늘었는데 가격은 오른다? 시멘트 시장이 알려주는 경제 원리

과거 내 블로그 글에서도 남겼듯이( https://gkjeong.tistory.com/16 ) 수요와 공급의 법칙은 진짜 법칙이 아니라 일종의 보편적으로 가정하는 경제모형이이기에 시장가격을 예상하는데 보다 신중해야 한다는 생각을 항상 가지고 산다. 그리고 작년 시멘트 가격 동향은 특이한 시장가격 사례의 대표적인 예였기에, 친구들과 대화 중 블로그 글을 남겨야지 생각하였다가 까먹고 살다 이제서야 글을 남긴다.https://gkjeong.tistory.com/16 수요와 공급 법칙의 진실, 수요-공급 법칙에 대해 이해를 했는가?오늘 나는 수요곡선(Demand curve)과 공급곡선(Supply curve)에 대해서 얘기를 해볼까 한다. 지금 공교육 교과과정이 어떤지 잘 모르겠지만 내가 학교 교육을 받은 기준..

경제 2025.03.17

비선형해석 수렴조건 옵션 세팅에 관한 기록

비선형 동적해석을 하다보면 수렴성 판별 기준과 sub step 반복계산 세팅 방법이 생각보다 중요하다. 전체 구조물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는 7개 지진파에 대한 해석 결과의 평균값을 바탕으로 진행되는데, 가끔 한두개의 지진파만 값이 튀어서 해석결과가 수렴되지 않아 값을 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지진파를 다시 골라서 스케일링을 새로하고 진행하는 것보다 특정 지진파에 대한 수렴조건을 보다 세밀히 조정해서 해석값을 도출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지진파가 3~4개 이상 해석이 안되는 경우라면 구조물 자체가 지나치게 성능이 부족하여 해석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소성힌지 상태를 검토하고 기본적인 보강을 한 상태에서 추가해석을 진행해보야 할 것이다. 외국계 프로그램은 연구에도 많이 이용되고 기존에..

건축구조기술사 135회 2-3 유한요소해석-수치해석 관련 문제 풀이

해당 문제는 유한요소와 수치해석에 대한 기본기가 있다면 매우 쉬운문제인데, 기본 개념이 없으면 손도 댈 수 없는 문제이다. 대학원 시절에 유한요소 공부를 너무 대충 한 탓에 어떻게 푸는지 감도 잡지 못하다가, 주말 새벽에 갑자기 해당문제를 풀고 싶어져서 급하게 공부를 하고 풀이를 하여 남긴다.우선 내가 공부를 하기 위해 기본 개념을 익히려고 급하게 본 자료와 외국 엔지니어링 교육 수업 자료를 먼저 남긴다.공부를 하고 바로 풀이를 남긴거라... 혹시라도 보완하면 좋겠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주시길 바란다.  유튜브 강의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iqZFaNNqACM외국 강의 자료: https://www.brown.edu/Departments/Engineering/..

카테고리 없음 2025.03.16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좌굴 하중을 계산하면서 생각한 내용 및 풀이 공유.

기본적인 역학 구조계산은 감이 떨어지지 않고 최소한은 꾸준히 하면서 살고 있는 편이다. 아래는 기술고시 기출 문제 중 스프링으로 횡지지 된 부재의 좌굴하중을 계산하는 문제에대한 내 풀이다. 아래처럼 푸는게 나에게 너무나도 당연하게 느껴지고, 반대로 평형방정식을 세워서 풀이를 하는 것은 오랫동안 해당 문제에 대해 사용하지 않은 탓에 생소하다. (평형방정식으로 풀이 정리를 해서 공유해 줄 수 있는 분은 공유해주면 좋겠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풀면서 질문을 하나 받았다.  왜 탄성구조체인데 외부 일을 구할 때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1/2 kx^2 과 같이 앞에 계수 1/2를 곱하지 않느냐는 질문이다. 사실 이에대한 질문에 대한 답은 매우 간단한데 기본적으로 "하중"이 일을 하는건 P*d(힘*거리)로만 계산..

파일/pdf본문 탐색기 및 MIDAS GEN 철근테이블 시각화 EXCEL

작년 가을에 설계프로젝트 진행하면서 gen table 양식대로 엑셀에서 RC배근 화면 관리할 수 있게 만들어 두었던 EXCEL 프로그램을 올려둔다.   업데이트한 내용을 gen에 바로 입력하거나 gen에서 가져와서 수정 기록 남기며 작업가능하도록 세팅하였다. 보일람표 수정이 잦아야 하는 경우 엑셀데이터로 변경기록 메모 남기면서 해석 input 과 , 문서작성 작업 관리할 때 유용하다.     그리고 최근에 파일 검색기 프로그램을 만들어 둔 것을 코드를 남긴다. 기존 PDF 본문 검색기나 파일 탐색기 등은 여럿 있었는데, 두가지 기능을 같이 포함하면서 손쉽게 전환하면서 사용 가능한 가벼운 프로그램이 없던 탓에 AI를 활용하여 만들어두었다. 아래링크에서 다운 가능하며 동작 방식은 아래 사진으로 남긴다.htt..

개인 일상 2025.02.26

구조 모델링 부분 자동화 예시

오늘은 내 생일이기고하고 퇴근도 일찍하고 일거리도 많이 없는 덕에 오랜만에 간단히 최근 작업 내용 중 일부를 기록으로 남긴다. 기존 구조물에 보강구조물을 부착할 때 모델링 작업 자체가 어려운 부부은 아니지만, 최적 설계를 위해서 여러가지 안들을 비교해보는게 필수적이라 건물 이곳 저곳에 보강 골조를 지웠다가 그렸다가 하는게 시간을 꽤나 잡아먹게 된다. 개인적으로는 node 넘버링과 element 넘버링 관리를 하면서 테이블로 작업을 하면 일반적인 모델 방법보다 시간단축이 많이 되기에 이러한 스킬들을 많이 숙달시킨 편이었고, 내가 평소 작업하던 루틴을 바탕으로 간단한 프로그램화를 진행하여 기존 골조의 좌표 정보를 바탕으로 보강골조를 자동으로 그려주고 기존골조와 신규골조 사이의 링크를 만들어 주는 것 까지 한..

브레이스 강성 유도 (트러스에 대한 이해 심화2)

과거 트러스에 대한 이해에 대해 글을 남긴 적이 있다.  오늘은 이런 개념을 활용해 브레이스 시스템의 강성 유도를 기하학적으로 유도하는 방법을 남겨두려 한다. 물론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에너지법을 이용한 유도과정도 남겼다. 기하학적 유도 과정이 포함되므로 글로 남기기 어려워 수기로 작성한 내용을 찍은 사진으로 대체한다. 사진의 내용에도 포함되는 말이지만, 이러한 기하학적 사고 실험을 통해 구조물이나 시스템을 분석하는 습관은 간략화 시킨 수식에서 생략된 요소들을 발견하기 쉽게하여 간과하기 쉬운 세부적인 조건들을 발견하기 쉽게 해준다. 예를 들어 오늘남긴 유도과정에서 브레이스의 강성 발현에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간과하기 쉬운 요소는 기둥과 같은 수직 방향 강성요소이다. 직접 계산해보면 알 수 있는 내용이지만..

요새 만든 것 중 하나

해당 내용은 원래 작년 여름에 올렸던 내용이고, 이후에 좀 더 다양한 범주로 발전시켜서 개발하려고 했으나, 개인적으로 우선 순위에 있는 다른 것들이 많은 탓에 진행이 안되고 있다. 그래서 혹시라도 관심있는 사람이 있으면 댓글 남기면 해당 파일을 전해주려고 글을 끌어올린다. 해당 자료를 발전시켜서 더 나은 작업물로 전환하고 같이 공유해줄 사람이 있다면 좋겠다.--------------------------------실행 영상과 함께 기록을 남긴다.     best 프로그램을 써본 사람은 공감하겠지만, 디자인+와 다르게 dwg파일 추출 기능이 없는 탓에 간단하게 계산해놓고 접합상세도를 그리는데 한세월이다. 디+과 베스트에서 자동설계 결과가 다른 경우가 있기에 best를 근거로 잡아놓고 디+에서 수동으로 배치..

개인 일상 2025.02.06

인공지능의 발전과 관하여 인간이 추구해야 할 것.

내 블로그의 성향을 보면 짐작할만한 내용이지만, 나는 인공지능에 관심이 오래전부터 있었으나 굳이 글에 남기지 않았다. 이 블로그에 250여개의 글을 쓰면서 많은 주제를 다루어왔으나, 몇년간 가장 큰 이슈였던 인공지능에 관해서 적은 글은 거의 없다. 블로그 글을 다 찾아보아도 딱 하나 적은게 있는데, https://gkjeong.tistory.com/48 여기서 다룬 지방정부가 인공지능 관련 기술인재 양성을 위해 투자하는 내용의 뉴스만 옮겼다.  지금이야 GPT가 워낙에 큰 이슈가 되었고 GPT 3.5 이후로 일반 대중이 인공지능에 대해 접하기 쉬워지면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지 3년정도 되었기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두고 있지만, 내가 인공지능에 관심을 가지고 기본적인 내용을 아주 얕게나마 지식을 쌓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