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선형 동적해석을 하다보면 수렴성 판별 기준과 sub step 반복계산 세팅 방법이 생각보다 중요하다. 전체 구조물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는 7개 지진파에 대한 해석 결과의 평균값을 바탕으로 진행되는데, 가끔 한두개의 지진파만 값이 튀어서 해석결과가 수렴되지 않아 값을 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지진파를 다시 골라서 스케일링을 새로하고 진행하는 것보다 특정 지진파에 대한 수렴조건을 보다 세밀히 조정해서 해석값을 도출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지진파가 3~4개 이상 해석이 안되는 경우라면 구조물 자체가 지나치게 성능이 부족하여 해석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소성힌지 상태를 검토하고 기본적인 보강을 한 상태에서 추가해석을 진행해보야 할 것이다.
외국계 프로그램은 연구에도 많이 이용되고 기존에 이쪽 분야 실무자들이 많이들 이용하여서 어느정도 정립된 세팅 방식이 자리잡혀있으나, midas gen은 국내 점유율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 대한 해석프로그램 지원은 이제 시작하는 단계라 상세 설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잡히지 않기도하였고, midas 설명서에 제시하는 자료도 그다지 실용적이지 않은 경우가 종종 보인다. 따라서 이번에 해당 내용에 대해 개인적으로 다시 자료를 찾으면서 기존 연구자료들과 비교하여 적정 세팅 범위를 판단해보았다.
아래는 소수의 지진파에서 해석이 진행되지 않을 때 어떻게 수렴조건을 세팅하는게 좋은지 여러 논문자료를 확인하여 나름대로 판단하여 정리한 내용이다.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한글 파일에서 편집한 것을 다시 적어서 보기좋게 재편집하는게 귀찮아서, 해당 한글파일을 캡쳐한 내용을 올리는 것으로 대체한다.
---------------------------------







'공학,과학 >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좌굴 하중을 계산하면서 생각한 내용 및 풀이 공유. (0) | 2025.03.02 |
---|---|
브레이스 강성 유도 (트러스에 대한 이해 심화2) (0) | 2025.02.06 |
모드 해석의 기하학적 이해 + 푸시오버 해석에서 흔히 하는 관습적 오류 (0) | 2024.07.19 |
점탄성 감쇠장치 관련 이론적인 기본 사항과 실무 적용 관련 고민 사항 정리 (0) | 2024.07.11 |
매트릭스 해석을 소성해석에서 적용하는 방법.(개인 기록용) (0) | 2024.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