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스정리 2

몬티홀 문제

몬티홀 문제를 내가 처음 접한건 행동경제학 혹은 게임이론과 관련한 책을 오래전에 읽었을 때일거다. 그런데 이 문제에 대해 완전히 잊고있다가 오늘 친구들이 모여있는 단톡방에 해당 내용이 올라와서 다시 생각해보게되었다. 몬티홀 문제는 다음과 같다. 당신에게 3가지의 선택안이 있고 그 중에서 2개는 꽝이다. 당신이 한가지를 선택한 후 사회자가 나머지 둘 중 하나의 결과가 꽝인것을 확인 시켜줄 때 확인 되지 않은 두개의 선택안이 남는다. 이때 기존 선택을 유지하는 것과 선택을 바꾸는 것 사이에 어느 것이 유리한가?에 관한 문제이다. 이 문제에 대해 대다수의 사람들은 어떤 선택을 하든 확률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기존 선택안이 맞을 확률은 1/3이며 선택안을 바꿔서 맞출 확률은 2/3이다. 아마 해당 ..

베이스정리 적용 사례(Example for applying the basien theorem), 후행사건이 어떻게 확률에 영향을 끼치는가?

개인적으로 정한 포스팅 스케쥴 상으로는 공학 관련 포스팅과 코딩 관련 글을 올려야 하는데 막상 적으려고 보니 전공 분야 쪽이 오히려 쉽게 설명하기가 어려워 개인적으로 아주 기초적인 부분부터 다시 공부를 하는 중이다. 미분방정식 풀이나 그런 것을 다 포함하여 설명하기에는 이 블로그에서 추구하는 일반인들에게 쭉쭉 읽혀지는 내용이 아니게 되고, 개념적으로 쉽게 얘기를 하자니 나의 지식이 얉았음을 느끼게 된다. 앞으로 확률에 대해 좀 더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려면 좀 더 까다로운 수식들을 다루게 되는데 이와 관련해서도 천천히 공부를 하면서 준비가 되는대로 이어서 다루겠다. 우선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어진 베이스정리를 어떤 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예시를 보이려고 한다. 해당 문제는 Probability Co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