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7

재고는 늘었는데 가격은 오른다? 시멘트 시장이 알려주는 경제 원리

과거 내 블로그 글에서도 남겼듯이( https://gkjeong.tistory.com/16 ) 수요와 공급의 법칙은 진짜 법칙이 아니라 일종의 보편적으로 가정하는 경제모형이이기에 시장가격을 예상하는데 보다 신중해야 한다는 생각을 항상 가지고 산다. 그리고 작년 시멘트 가격 동향은 특이한 시장가격 사례의 대표적인 예였기에, 친구들과 대화 중 블로그 글을 남겨야지 생각하였다가 까먹고 살다 이제서야 글을 남긴다.https://gkjeong.tistory.com/16 수요와 공급 법칙의 진실, 수요-공급 법칙에 대해 이해를 했는가?오늘 나는 수요곡선(Demand curve)과 공급곡선(Supply curve)에 대해서 얘기를 해볼까 한다. 지금 공교육 교과과정이 어떤지 잘 모르겠지만 내가 학교 교육을 받은 기준..

경제 2025.03.17

투자에 재능이 없어도 어떻게 자산을 늘리는가?

글의 제목을 보고 오해할 수 있는데, 이 글은 트레이딩에서 주로 말하는 여러 기술들을 배제하고도 어떻게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지 원론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다만 이것이 실제로 효과가 있으려면, 거시적인 관점에서 우상향하는 지표와 그것을 따라가는 경향성을 보이는 투자처를 확인하고 이용하려는 노력과 공부는 필요하다. 블로그에 자주 언급한 내용이지만 나는 개별 투자에 대한 투자스킬이나 매도 매수 시점 같은 내용에 대해서는 일절 조언을 하지 않고 경제공부를 스스로하고 좋은 포트폴리오를 꾸리는 것만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평균적인 포트폴리오 운영 능력이 있으면 개별종목 투자에서 상위 3%정도의 선구안을 가진 사람과 비슷한 수준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내 오랜 친구들은 이 얘기..

경제 2024.04.06

투자 실패에 대한 기록2 , 그리고 포트폴리오 운영 시 유의 사항

2022년에 한번 투자 실패에 대한 기록을 남긴 적이 있다. 좀 더 어릴 때는 2년마다 한번 꼴로 큰 결실이나 깨달음이 있었는데, 요새는 어째 2년마다 크게 실수를 하는 모양새다. 원래 원칙주의자에 가까운데, 원칙을 너무 자연스럽게 어기면서 탈이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본업이 생긴 이후로 경제공부에 대해선 손을 놓았기에 그런지도 모르겠다. 이번에도 과거와 같이 실패기록을 남겨 이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으려 노력한다. https://gkjeong.tistory.com/174 투자 실패에 대한 기록 앞으로 개인적인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이 기록을 남긴다. 블로그에서는 포트폴리오 이론과 리스크 관리가 최우선이라고 강조를 하여왔지만, 정작 코로나 이후의 내 투자는 전혀 그렇지 gkjeong.tistory.c..

경제 2024.04.05

정부, 탈탄소 420조 투자 진행

(이 글을 작성 후 2달 지나서 추가로 남기는 생각이지만, 아무래도 현 정부가 또 빈말을 했나 싶다. 4월 총선 이후 공개된 재정적자 규모를 보아도 실행되기 어렵고, 당장 주택공급 목표도 임기중 250만 가구라 하였으나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마당에 이 정도의 재정 투자가 진행되긴 어려워 보인다.)-------------------------------------- 돌고 돌아서 다시 탈탄소 정책 강화이다. 비록 현정부가 2년간 지구 온난화 관련 대책 사업에 그 동안 크게 관심이 없고 부족한 예산 때문에 오히려 기존 정책도 축소해야하는지 논의하는 기조를 내비쳤는데, 장기적으로 그린 정책이 돈이 된다라고 판단을 했는지 오히려 대폭 상향시켰다. 배터리와 반도체 그리고 AI 및 로봇이 미래 주요 기술산업인 것처럼..

경제 2024.03.19

현 시점에 적합한 포트폴리오 예시 2 -커버드콜 전략

여러번 말했다 싶이, 이 블로그에 자세한 투자 기법을 작성하지는 않는다. 항상 말하듯 나는 투자가 업이 아니고 금융권에서 업을 하는 사람이 아니기에 학생 때 이후로 경제공부를 그만 둔 상황이라 남을 알려줄 지식 수준이 아니다. 그리고 아주 특이한 케이스가 아닌 이상 남이 말하는 투자기법을 익히는 것보다 스스로 경제공부를 하면서 경험하는게 좋은 결과를 주기 때문이다. 대신에 포트폴리오 구성에 도움이 될만한 개인적인 의견과 팁들은 내 친구들에게 남기는 것과 동시에 블로그에도 간간히 따라 남기고 있다. 이번 글은 작년 12월 중순경 남겼던 '현 시점에 적합한 포트폴리오의 예시' 글에 대한 후속글이다. 참고로 포트폴리오의 전략은 자산군 포지션의 분배 기준을 잡는것과 리밸런싱을 진행하는 방식에 따라 무한하게 세분..

경제 2024.03.14

현 시점에 적합한 포트폴리오의 예시

이 글 마지막에 최근에 친구들과 나눈 대화를 캡쳐하여 현 시점에서 참고할 만한 포트폴리오의 예시를 남기겠다. 그러나 그 전에 아래의 글을 주의사항 처럼 생각하고 먼저 읽어주길 바란다. (참고로 켑쳐의 예시는 소액 투자부터 가능한 포트폴리오 예시이고, 자본금이 많아서 증거금을 예치해두는게 부담이 안된다면 선물/옵션 등을 활용해서 변동성에 대한 헷지를 한다면 주식 비중을 더 늘리더라도 비슷한 수준의 리스크 관리가 가능하긴하다. 다만 들고있는 포지션이 항상 1억 이상일 때에나 유의미하고 그 이하는 채권, 주식만으로 분배하는게 합당하다 본다.) 나는 이 블로그에서 경제와 관련된 글을 쓸 때 세부적인 투자방법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기술하지 않고있다. 가끔씩 세부적인 글을 쓸때면 시간이 지나서 비공개 처리를 하거나 ..

경제 2023.12.12

한국은행 총재의 쓴소리

최근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구조개혁을 못하고있는 대한민국의 사회 경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쓴소리를 내뱉었다. 해당 뉴스를 보자마자 글로 남겨 두어야겠다고 생각을 하였지만 대체휴무일을 낀 연휴를 온전히 즐기고자 이제서야 글을 남기게 된다. 해당 뉴스는 바로 아래에 링크를 남긴다. "나라 망하는 길"…재정·통화에만 기댄 세태에 쓴소리 쏟은 이창용 < 정책/금융 < 기사본문 - 연합인포맥스 (einfomax.co.kr) "나라 망하는 길"…재정·통화에만 기댄 세태에 쓴소리 쏟은 이창용 - 연합인포맥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구조개혁을 외면하고 재정·통화정책에만 의존하려는 국내 경제 현실에 대해 직설적인 비판을 내놨다.근본적인 문제를 손대지 못하고 재정과 통화정책 등을 통한 대증 news.einfomax...

경제 2023.05.30

장기 자산운용 계획 -1편 연금성 상품의 활용

장기 자산운용 계획 -1편 연금성 상품 활용 이 글은 30대가 되어도 자산 운용에 있어서 감이 부족한 동생에게 비교적 핵심적인 부분만 전달하기위해 마련하게 되었다. 따라서 강조하고 싶은 핵심 내용 위주로 담았기에 글 자체는 다소 두서없이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정작 본인도 한국에서 끝까지 살아갈지 확신하지 않는 입장이라 연금성 상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 더욱 그럴 수 있다.) 공개글로 1편을 올리지만 앞으로 작성될 내용은 비공개될 가능성이 높을것 같다. 기초지식: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3/02/13/YIIPIF4AWRAENDNNTSKWDRXT6E/ 똑똑하게 연금 준비하려면 ‘5025 저축법’ 기억하세요 똑똑하게 연금 준비하려면 5025..

경제 2023.01.29

동생에게 남겼던 투자의 개념에 대하여

최근에 나의 동생에게 투자와 관련한 강의를 2시간 정도 진행하였다. 더 해주고 싶은 말은 많았지만 체화되지 않는 지식을 단시간에 아무리 많이 전달해준다 한들 시간 낭비이기 때문에 스쳐지나가다 듣기만 하여도 도움이 되는 개념들 위주로만 알려주었다. 만약 동생이 내가 전달한 지식의 가치를 충분히 깨닫는다면 스스로 정진하다 다시 그와 관련해서 대화를 청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해당 시간을 허비한게 될 지 모른다. 해당 지식은 내가 과거에 그와 관련하여 짧게 대화를 나누었던 몇몇 지인들에게 짧게 알려준 것만으로도 실질적으로 인생에 큰 도움이 되었다는 근황과 함께 상당한 답례를 받았던 경험이 있었다는걸 인지하여 더욱 귀하게 여기고 뼈에 새겼으면 하지만 내 동생이 그 가치를 발견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나의 경..

경제 2021.10.26

포트폴리오 다각화 방법에 대하여 feat. Modern Portfolio Theory (MPT)

내가 경제와 관련한 첫 글을 쓸 때 밝혔지만 난 경제 공부를 그만둔지 상당히 오랜 시간이 지났다. 더욱이 내가 공부한 것은 경제학에 대한 근본적인 내용이지 주식 채권 등에 대한 투자 방법이 아니다. 그래도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은 간략하게나마 해당 내용을 이 블로그에 남겨두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글을 쓴다. https://en.wikipedia.org/wiki/Modern_portfolio_theory Modern portfolio theory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Mathematical framework for investment risk Modern portfolio the..

경제 2021.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