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7

거시경제학의 탄생과 발전

저번 글에서는 미시경제학에 대한 얘기를 쭉 풀어봤으니 그에 이어서 거시경제학을 언급하지 않을 수가 없겠다. 사실 이전에도 미시경제학을 서술하면서 얘기한 내용이지만 나는 굳이 이 둘을 구분해서 익히는게 좋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학문으로서의 경제학의 틀이 그렇게 잡혔으니 다수의 누군가는 그런 방향으로 궁금할 것이고 검색하여 내 글에 닿게 될 테이니 나도 그렇게 나누어 정리를 해 둘 수 밖에 없겠다. 그러나 되도록이면 그 학문의 틀에 갇히지 말고 이 글을 읽기 전에 이 바로 전에 쓴 글인 미시경제학에 대해 서술한 글을 먼저 읽기를 권장한다. 학문의 틀을 벗어나는게 어렵다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하나 얘기해 보겠다. 방임주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케인스 경제학'의 창시자이자, 현재까지도 주류 ..

경제 2020.05.10

미시경제학에 대해_ to 투자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요새 계속 경제학 관련 칼럼만 쓰게되는 것 같아 다른 글들을 쓰고 싶지만 COVID19 확산 이후 증시의 급변동을 겪으면서 다수의 사람들의 관심이 투자에 쏠리다 보니 우려하는 마음에서 글을 더 남기게 된다. 사실 나는 평소에 굳이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을 나누어 생각하지 않는다. 경제 주요 지표들의 변화가 있으면 그것에 영향을 주었을 시장 상황을 생각하는건 자연스러운 것이고 반대로 시장에서 뭔가 새로운 흐름을 보았으면 관련 기업이나 지표들의 추세를 확인하면서 종합적으로 생각하는게 지극히 당연한 습관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투자를 오래 하다보면 기업에 투자를 하려고 하면 산업분석, 시장분석, 기업분석을 하고 특정 자산에 투자하려고 하면 역사공부, 시장분석, 상품분석 등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미시적, 거시적 ..

경제 2020.05.03

한국 GDP 1분기 성장률 -1.4% 선방에 대해 (분기별 성장율과 연간 성장율)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004231609Y 1분기 성장률 -1.4%…2008년 이후 최저…"코로나가 2%P 낮춘듯"(종합) 1분기 성장률 -1.4%…2008년 이후 최저…"코로나가 2%P 낮춘듯"(종합), 사회 www.hankyung.com 오늘 한국의 1분기 GDP성장률이 -1.4%라 발표되었다. 아주 기분 좋은 소식이 아닐 수 없다. 한국 경제가 -성장률인데 기분이 좋냐고? 당연히 아니다. 그러나 전망치보다 확실히 선방한 것이니 기분이 좋을 수 밖에 없지 않겠나. 올해 각종 해외 신용평가사와 투자은행 및 IMF 등에서 한국의 연간 기대 성장율이 -1.5% 내외였던 것을 생각하면 확실한 선방이다. -1.4%이면 -1.5%와 차이도 없고 IMF의 한..

경제 2020.04.23

수요와 공급 법칙의 진실, 수요-공급 법칙에 대해 이해를 했는가?

오늘 나는 수요곡선(Demand curve)과 공급곡선(Supply curve)에 대해서 얘기를 해볼까 한다. 지금 공교육 교과과정이 어떤지 잘 모르겠지만 내가 학교 교육을 받은 기준으로는 중학교 사회시간에서부터 다루게 된다. 고등학생이 되어서도 같은 내용을 배우기 때문에 따로 경제공부를 하지 않거나 대학에 와서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는 이상 인생에서 배우는 경제 철학의 거의 모든 부분은 애덤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과 그를 뒷받침하는 수요공급곡선일 것이다. 내가 이것을 '법칙'이나 '원리'가 아닌 '철학'이라 일컫는 이유는 이것 역시 수많은 경제 '이론'과 같이 절대적인 것이 아닌 시장 경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장 기초적인 모델의 '가정'이기 때문이다. 방금 전의 얘기가 무슨 얘기인지 와닿지 않을 ..

경제 2020.03.28

왜 물가 상승률은 0%이면 안될까?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2/03/2019120300306.html 물가상승률 11개월째 0%대… 디플레이션 우려 더 커진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개월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지만, 여전히 0%대를 기록하며 저물가 기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농산물과 석유류.. biz.chosun.com 요새 코로나19로 인한 뉴스만 나와서 재미가 없던 차에, 어차피 지금 상황이면 몇개월 후에 반드시 이슈화 될 물가 상승률에 대해 얘기하면서 기본적인 경제 원리를 다루고 그에 더해 개인적인 경제철학을 조금 피력하려고 한다. 물가상승률이 과거에 높을때는 사람들이 물가상승률이 높다고 걱정하더니 물가상승률 1%대 부터는 다들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0%에 ..

경제 2020.03.21

통화교환(통화스와프)뉴스를 접하며

이 글에 나오는 용어 정리 통화스왑: 통화스왑이란 외환스왑과 마찬가지로 거래당사자간에 서로 다른 통화를 교환하고 일정기간 후 원금을 재 교환하기로 약정하는 거래를 말한다. 통화스왑도 자금 대차거래라는 점에서는 외환스왑과 비슷하나 이자지급 방법과 계약기간에 차이가 있다. 외환스왑은 주로 1년 이하의 단기자금 조달 및 환리스크 헤지 수단으로 이용되는 반면 통화스왑은 주로 1년 이상의 중장기 환리스크 및 금리리스크 헤지 수단으로 이용된다. 이자지급 방법에 있어서도 외환스왑은 스왑기간 중 해당통화에 대해 이자를 교환하지 않고 만기시점에 양 통화 간 금리차이를 반영한 환율(계약시점의 선물환율)로 원금을 재 교환하나, 통화스왑은 계약기간 중 이자(매 6개월 또는 매 3개월)를 교환하고 만기시점에 처음 원금을 교환했..

경제 2020.03.20

한은의 0.5%P의 금리인하를 바라보며

경제 관련 첫 게시글을 작성하며: 실토하건데 오늘날 새로 뜨는 각종 신 경기지표나 최신의 경제이론을 공부하지 않은지 벌써 수년이 지났다. 아니 그런 학문적 탐구 이전에 경제 관련 서적을 하나라도 읽어본지 너무 오래 지났다. 그래서 경제 전문 칼럼은 다른 칼럼들에 비해 민감함에도 객관성이 부족하진 않을지 겁이나 적지 않을까 생각도 하였지만, 소신껏 가장 기초적인 내용에 기반하여 작성하고자한다. 물론 경제학 자체가 개인의 경제 철학에 기반하기 때문에 100% 객관적인 경제 의견은 있을 수 없다 생각한다. 학부생때는 방학때마다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는 마음으로 멘큐의 경제학과 경제학원론을 도서관에서 계속 돌려보면서 읽었고 지금도 같은 마음가짐이기에, 블로그에서는 주식이나 채권, 신경기지표, 분석 방식 같은 글은..

경제 2020.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