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3

미시경제학에 대해_ to 투자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요새 계속 경제학 관련 칼럼만 쓰게되는 것 같아 다른 글들을 쓰고 싶지만 COVID19 확산 이후 증시의 급변동을 겪으면서 다수의 사람들의 관심이 투자에 쏠리다 보니 우려하는 마음에서 글을 더 남기게 된다. 사실 나는 평소에 굳이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을 나누어 생각하지 않는다. 경제 주요 지표들의 변화가 있으면 그것에 영향을 주었을 시장 상황을 생각하는건 자연스러운 것이고 반대로 시장에서 뭔가 새로운 흐름을 보았으면 관련 기업이나 지표들의 추세를 확인하면서 종합적으로 생각하는게 지극히 당연한 습관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투자를 오래 하다보면 기업에 투자를 하려고 하면 산업분석, 시장분석, 기업분석을 하고 특정 자산에 투자하려고 하면 역사공부, 시장분석, 상품분석 등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미시적, 거시적 ..

경제 2020.05.03

통화교환(통화스와프)뉴스를 접하며

이 글에 나오는 용어 정리 통화스왑: 통화스왑이란 외환스왑과 마찬가지로 거래당사자간에 서로 다른 통화를 교환하고 일정기간 후 원금을 재 교환하기로 약정하는 거래를 말한다. 통화스왑도 자금 대차거래라는 점에서는 외환스왑과 비슷하나 이자지급 방법과 계약기간에 차이가 있다. 외환스왑은 주로 1년 이하의 단기자금 조달 및 환리스크 헤지 수단으로 이용되는 반면 통화스왑은 주로 1년 이상의 중장기 환리스크 및 금리리스크 헤지 수단으로 이용된다. 이자지급 방법에 있어서도 외환스왑은 스왑기간 중 해당통화에 대해 이자를 교환하지 않고 만기시점에 양 통화 간 금리차이를 반영한 환율(계약시점의 선물환율)로 원금을 재 교환하나, 통화스왑은 계약기간 중 이자(매 6개월 또는 매 3개월)를 교환하고 만기시점에 처음 원금을 교환했..

경제 2020.03.20

한은의 0.5%P의 금리인하를 바라보며

경제 관련 첫 게시글을 작성하며: 실토하건데 오늘날 새로 뜨는 각종 신 경기지표나 최신의 경제이론을 공부하지 않은지 벌써 수년이 지났다. 아니 그런 학문적 탐구 이전에 경제 관련 서적을 하나라도 읽어본지 너무 오래 지났다. 그래서 경제 전문 칼럼은 다른 칼럼들에 비해 민감함에도 객관성이 부족하진 않을지 겁이나 적지 않을까 생각도 하였지만, 소신껏 가장 기초적인 내용에 기반하여 작성하고자한다. 물론 경제학 자체가 개인의 경제 철학에 기반하기 때문에 100% 객관적인 경제 의견은 있을 수 없다 생각한다. 학부생때는 방학때마다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는 마음으로 멘큐의 경제학과 경제학원론을 도서관에서 계속 돌려보면서 읽었고 지금도 같은 마음가짐이기에, 블로그에서는 주식이나 채권, 신경기지표, 분석 방식 같은 글은..

경제 2020.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