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학 3

고용 없는 시대, 고용 없는 성장

이번 글의 주제는 거시경제학의 오랜 이슈인 고용 저감 문제에 대해 얘기를 하려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연간 경제성장률이 3% 미만이 되면서 얘기가 많아졌고, 특히나 요즘에는 그 병으로 인해 전세계적인 실업률 증가가 눈에 띄고 있는 시점이다. 그리고 앞으로의 기술 성장으로 인한 생산성 증가가 가져올 고용 감소를 고려하면 이것은 점차 보편적인 문제가 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고용 감소 문제는 양극화 현상을 가속화 시키는 주요 요인이자 제도적 문제이므로 사회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이슈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이 글에서는 고용저감이 일어나는 이유를 경제학 이론에 근거해서 수학적으로 설명을 할 것이다. 수학적으로 얘기한다고 하여서 두려워 할 필요는 없다. 아주 직관적인 수준에서만 다룰 계획이니 말이다. 다만 주..

경제 2020.05.23

거시경제학의 탄생과 발전

저번 글에서는 미시경제학에 대한 얘기를 쭉 풀어봤으니 그에 이어서 거시경제학을 언급하지 않을 수가 없겠다. 사실 이전에도 미시경제학을 서술하면서 얘기한 내용이지만 나는 굳이 이 둘을 구분해서 익히는게 좋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학문으로서의 경제학의 틀이 그렇게 잡혔으니 다수의 누군가는 그런 방향으로 궁금할 것이고 검색하여 내 글에 닿게 될 테이니 나도 그렇게 나누어 정리를 해 둘 수 밖에 없겠다. 그러나 되도록이면 그 학문의 틀에 갇히지 말고 이 글을 읽기 전에 이 바로 전에 쓴 글인 미시경제학에 대해 서술한 글을 먼저 읽기를 권장한다. 학문의 틀을 벗어나는게 어렵다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하나 얘기해 보겠다. 방임주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케인스 경제학'의 창시자이자, 현재까지도 주류 ..

경제 2020.05.10

미시경제학에 대해_ to 투자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요새 계속 경제학 관련 칼럼만 쓰게되는 것 같아 다른 글들을 쓰고 싶지만 COVID19 확산 이후 증시의 급변동을 겪으면서 다수의 사람들의 관심이 투자에 쏠리다 보니 우려하는 마음에서 글을 더 남기게 된다. 사실 나는 평소에 굳이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을 나누어 생각하지 않는다. 경제 주요 지표들의 변화가 있으면 그것에 영향을 주었을 시장 상황을 생각하는건 자연스러운 것이고 반대로 시장에서 뭔가 새로운 흐름을 보았으면 관련 기업이나 지표들의 추세를 확인하면서 종합적으로 생각하는게 지극히 당연한 습관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투자를 오래 하다보면 기업에 투자를 하려고 하면 산업분석, 시장분석, 기업분석을 하고 특정 자산에 투자하려고 하면 역사공부, 시장분석, 상품분석 등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미시적, 거시적 ..

경제 2020.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