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권(2)
-
지금 이후의 신남방정책의 흐름에 대해
※해당 글에 드러나는 개인의 주장은 비판적 시선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음을 고지합니다. 현 정부가 초기 천명한 외교정책의 가장 큰틀은 신남방정책과 신북방정책을 통해 중국과 미국에 대한 경제의존도를 낮추고 동시에 국제입지를 높이는 것에 있었다. 그리고 이것은 현 정부가 진행하는 모든 정책 중 나의 판단과 가장 동하는 것이었기에 지난 몇년간 가장 눈여겨 보고 있는 정책이기도 하다. http://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53887 [정책위키] 한눈에 보는 정책 - 신(新)남방정책 1.신남방정책이란?2.왜 필요한가?3.신남방정책의 추진전략4.정부의 그간 활동과 추진성과 5.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6.관련 누리집 1. 신남방정책이..
2020.04.04 -
미국의 패권 상실에 대한 우려와 뉴오리엔탈리즘 도래에 관해.
이 글에서 다룬 우려와 달리 이후 백신은 예상보다 서방 국가에서 빠르게 개발과 승인이 완료되었고 효과도 상당히 보았기에 지나간 기우에 불과한 내용이다. ----------------------------------------------------------------------------------------------------------------------- 최근 주변인들과 이 내용에 대해 꽤나 많은 시간을 토론하고 검토를 하였는데 아무래도 미국과 월가의 눈치를 보아야하니 관련 미국 레포트는 나오지 않는것 같아, 공상소설 같은 것으로 사람들이 인식할까봐 이 주제를 미뤄왔다. 그러나 최근 골드먼삭스가 미국의 2분기 성장률을 -24%라고 예상한 점과 미국에서 이번 코로나 사태로 2조달러의 자금을 동원하..
2020.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