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내 블로그 글에서도 남겼듯이( https://gkjeong.tistory.com/16 ) 수요와 공급의 법칙은 진짜 법칙이 아니라 일종의 보편적으로 가정하는 경제모형이이기에 시장가격을 예상하는데 보다 신중해야 한다는 생각을 항상 가지고 산다. 그리고 작년 시멘트 가격 동향은 특이한 시장가격 사례의 대표적인 예였기에, 친구들과 대화 중 블로그 글을 남겨야지 생각하였다가 까먹고 살다 이제서야 글을 남긴다.
https://gkjeong.tistory.com/16
수요와 공급 법칙의 진실, 수요-공급 법칙에 대해 이해를 했는가?
오늘 나는 수요곡선(Demand curve)과 공급곡선(Supply curve)에 대해서 얘기를 해볼까 한다. 지금 공교육 교과과정이 어떤지 잘 모르겠지만 내가 학교 교육을 받은 기준으로는 중학교 사회시간에서부터
gkjeong.tistory.com
시멘트 재고는 쌓이는데 가격은 오른다?
https://www.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4/06/28/W6VOJJGUKVD5VP3XBDKYMLHPFI/
요즘 건설업계 시멘트업계 한판 붙기 직전이라는데
요즘 건설업계 시멘트업계 한판 붙기 직전이라는데 건설업계, 시멘트값 인하 요구
www.chosun.com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022404
봄마다 줄지어 날랐는데 텅…"재고량 포화" 설비 멈췄다
건설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시멘트와 철근 같은 건설자재를 생산하는 분야도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설비 가동 자체가 중단되면서 IMF 때보다 어렵다는 이야기들이 나옵니다.
news.sbs.co.kr
최근 SBS 뉴스와 조선일보 기사등을 병행하면서 보다보면우리나라 시멘트 업계가 흥미로운 현상을 보이고 있다.
건설경기 침체로 시멘트 수요가 줄어들면서 재고는 급증하고 시멘트 업체는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이지만, 시멘트 가격은 오히려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뉴스등을 찾아보면 작년 8월과 비교해 시멘트 재고량은 50% 이상 증가했음에도, 가격은 15~20% 상승했다. 조선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시멘트 업계는 추가 인상까지 고려하고 있는 듯 하였다. 이쯤 되면 일반적인 시장경제에 반하는 현상에 대해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재고는 쌓이는데 왜 가격은 오를까?'
수요와 공급, 그리고 생산비용의 관계
기본적인 수요공급 법칙만 적용한다면, 수요 감소로 재고가 쌓일 때 가격은 하락해야 한다. 공급이 감소하는 상황이라도 공급 감소 수준보다 수요감소 수준이 더 큰 폭이라 재고가 쌓인다면 수요공급 곡선으로 설명하면 가격이 싸지는 방향으로 흐르는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가 간과하는 중요한 변수가 있다. 바로 '생산 비용'입니다.
시멘트 업계는 수요 감소에 대응해 생산량을 대폭 줄였다. 생산량이 감소하면 고정비용이 분산되는 효과가 작아져 단위당 생산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에너지 집약적인 시멘트 산업의 특성상 공장 가동률이 떨어지면 비용 상승 효과는 더욱 커진다. 게다가 원자재 가격 상승, 탄소중립을 위한 환경 규제 강화 등이 생산 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산업이기에,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생산단가 상승비는 매우 급진적인 영향을 미친다.
교과서와 현실의 차이
경제학 교과서에서 수요공급 곡선은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할 때(ceteris paribus)'라는 전제 하에 설명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이 '다른 조건들'이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
시멘트 시장의 경우:
- 수요 감소로 재고 증가 → 가격 하락 요인
- 생산량 감소로 단위 생산비 증가 → 가격 상승 요인
이 중에서 생산량 감소로 인한 가격 상승 요인이 수요 감소로 인한 가격하락 요인보다 가격에 끼치는 영향이 훨씬 큰 산업이다. 따라서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선형적인 수요공급 곡선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수요곡선대비 공급곡선이 훨씬더 가파른 가격 변화를 주는 구간이 있기 때문에 공급대비 수요가 크게 줄더라도 지금처럼 더 적은 공급 감소에 의해서도 가격이 오히려 상승하는 상황이 나타난다.
결국 가격 결정은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 결과이다. 단순히 수요공급의 법칙에 의해 가격이 설명되는게 아니라 가격 상승 요인이 하락 요인보다 더 크게 작용했기 때문에 재고가 쌓임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오르는 역설적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시멘트 산업의 특수성도 한몫
시멘트 산업은 몇 가지 특성이 있다. 먼저 과점 시장 구조로, 지역별로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가격 결정력이 강합니다. 또한 시멘트는 보관이 어렵고 운송비가 높은 제품이라 지역 시장 특성이 강합니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같은 내용인데 결국에 산업의 구조적 형태에 따른 해자 때문에 특정 지역에 특정 소수기업이 과점을 할 수 밖에 없는 산업이다.
그리고 시멘트 제조는 고온 소성 과정이 필요해 에너지 사용 비용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런 경우 공장을 일시 중단했다가 다시 가동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수요가 감소해도 가동률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지금처럼 특정 생산라인이 가동을 멈추는 경우 추후 재가동 비용까지 현재 가동되는 생산라인의 생산단가에 포함시켜 가격을 고려하게 된다. 이러한 산업 특성이 재고와 가격의 일반적인 관계를 뒤틀어 놓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경제 이론과 현실의 균형 잡기
시멘트 시장의 사례는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을 준다. 경제 이론은 현실을 이해하는 도구이지만, 이상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쉽게 설명을 한다. 현실은 이론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단순히 수요가 크게 줄었으니 가격이 내려갈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은 너무 단편적인 시각일 수 있다.
기업의 생산 의사결정, 산업의 구조적 특성, 원자재 가격 변동, 정부 정책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시장 가격이 결정된다.
결국 우리가 경제 현상을 이해하려면 교과서적 이론을 넘어, 현실의 복잡한 맥락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시멘트 재고 증가에도 가격이 오르는 현상은 수요공급의 법칙이 틀렸다기보다는, 우리가 고려해야 할 변수가 더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아주 오랜만에 경제 카테고리 글을 남겼는데, 추후에 또 글을 남길만한 생각이 드는 좋은 소재가 있다면 글을 남기도록 하겠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에 재능이 없어도 어떻게 자산을 늘리는가? (1) | 2024.04.06 |
---|---|
투자 실패에 대한 기록2 , 그리고 포트폴리오 운영 시 유의 사항 (0) | 2024.04.05 |
정부, 탈탄소 420조 투자 진행 (0) | 2024.03.19 |
현 시점에 적합한 포트폴리오 예시 2 -커버드콜 전략 (2) | 2024.03.14 |
현 시점에 적합한 포트폴리오의 예시 (0) | 2023.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