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건설 관련 19

회고

내가 퇴사후 대학원에 들어오기 전까지 구조물 설계나 구조 검토 계산에 참여했던 프로젝트가 수십개가 되는데 그 중에 내가 메인 설계자였던 프로젝트가 열 몇개 된다. 내 경력이 그리 길지 않았던 것을 생각하면, 작업 속도가 꽤나 괜찮았던 모양이다. 물론 내가 메인 설계자라 하더라도 그 위의 검토자가 두 세명은 더 있었기에 두세 번의 검토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회사의 승인을 받아 계산서가 작성되는 구조이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메인 설계자라는 의미는 해당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진행과정과 계산 과정 및 설계 원리를 파악하고 있다는 것이지, 내가 해당 프로젝트를 순전히 내 실력으로 커버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내가 메인 설계를 맡았던 프로젝트 중에서 대형 구조물이 몇 개 있는데 그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수원..

개인 근황, 건물 시간이력해석 연구 등

요새 블로그 글을 못 쓴지가 오래이다. 최근에는 개인 연구를 진척시킬 필요를 느껴서 잠자는 시간과 잠시 멍때리는 시간 빼고는 거의 연구에 집중을 하고 있다. 그 잠조차도 하루 6시간을 넘지 않아서 최근 주말에는 크게 몸살이 걸려 코로나를 의심하기까지 했으니 완급 조절을 할 겸 근황 정리를 한다. 사실 해당 연구에 대한 접근은 작년 초여름부터 시작하였으나 도통 진행이 되지가 않았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초기 자료 조사에서는 기본적으로 모드해석의 원리를 기초부터 완벽히 익혀 코드화 할 줄 알아야 했고, 그것을 상용 해석프로그램과 비교하여 검증을 하였다. 사실 여기까지는 혼자 해볼만 한 내용 이었지만 그 이후에 특정 기준이 유효한 의미를 담고 있는지 판단하기엔 내용 자체가 굉장히 어렵기도 하였고, 이해는 했..

지진파의 스케일링

지진파를 직접적으로 활용하여 시간이력해석을 진행 할 경우 해석에 적용하는 지진파 응답스펙트럼은 설계기준(건축구조기준)에 맞추어 조정을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스케일링 방식은 사용하는 지진파의 특성에 따라 나뉘니 관련 기준을 찬찬히 확인하며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 글에서는 해당 방법의 진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남기려 한다. 지진파를 산정하는 방법에서는 1) 역사 지진파를 스케일링하여 산정, 2)설계용 스펙트럼에 부합하는 인공 지진파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우선 역사 지진파를 활용하려면 http://ngawest2.berkeley.edu/site 이 사이트에서 좌측의 아이콘을 찾아 들어가면 설계 대상 부지에 맞는 지진파 데이터를 가져오는게 가능하다. 국내 설계 기준이 미국 설계기준에 근거하여 국..

모드 해석의 진행에 관하여

동적 거동을 하는 구조물의 해석에 대하여 가장 정확한 해석 방법은 시간이력해석이라는 것은 자명하게 인식된다. 그러나 해석을 진행하는데 드는 시간과, 적합한 하중을 스케일링을 진행하고 구조물에 적용하는 전 과정에 필요한 전반적인 이해력이 일반 실무자들에게 부담이 되기에 다른 여러 해석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은 설계스펙트럼을 이용한 응답스펙트럼 해석과 지진의 동적 하중을 등가 정적하중으로 치환하는 등가정적 해석, 그리고 푸시오버 해석을 비롯한 여러 성능기반설계법 등이 있다. 건축구조기준에서 제시하는 설계 방법 중 가장 보편적인 동적해석은 응답스펙트럼 해석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산업이 발전할수록 건설 재료의 신뢰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있고 전반적인 구조 엔지니어들의 평균 지식 수준이 높아지고..

유효좌굴길이 조정에 관해

오늘 아침에 지인이 6층 증축 건물(강구조)과 관련하여 기존 설계를 맡은 곳에서 이상이 있었는지 안전진단을 해보니 하부층에서 기둥 내력을 30% 오버하는 문제가 있다고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문의를 하였다. 그쪽에서 고정단을 고려하여 좌굴길이를 고려해 계산을 해보겠다 하길래 진행해보라 하고 내 할일을 하고 있었는데, 생각해보니 이상한 점이 있어 따로 카톡을 남기게 되었다. 그리고 어찌저찌 문제는 잘 해결된 듯하다. 구조적으로 크게 어려운 내용은 아니었는데 문의하신분이 콘크리트쪽으로 연구하여 학위를 취득한 분이라 어림짐작으로 잘 하실거라 생각하고, 내가 놓치고 제대로 못 알려드릴 뻔 하였다. 아무래도 철골과 콘크리트의 거동은 강성적인 면에서 차이가 크기에 어느 한쪽만 접해 온 사람은 놓치는 부분이 생길 수..

면진 구조물 해석에 관하여

#해당 구조물 해석을 진행할 시 계산을 간소화시키기 위하여 레일라이 감쇠를 고려한 비고전적 감쇠행렬을 고전적 감쇠행렬로 치환하여 가정하고 진행하였음을 미리 고지한다. 해당 가정은 지반을 강체로 고려할 수 있는(지상구조물의 주기가 충분히 큰) 경우에 수치적으로 유효한 가정이다. 만약 내진설계를 구조물의 강성을 높여서 진행하는 경우, 구조물이 매우 작은 고유주기를 가지게 된다면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레일라이 감쇠 행렬을 그대로 적용하여야만 한다.   해당 내용은 Chopra의 'Dynamics of Structures Theory and Applications to Earthquake Engineering' 4판의 21장 'Earthquake Dynamics of Base-Isolated Build..

콘크리트의 내구성 계획_철근부식, 탄산화, 동해시 열화, 해안가 비말대, 부동태 등

해당 게시물은 콘크리트 내구성과 관련한 기본 개념 자료를 다시 정리하던 중 개인적으로 짜집기 하면서 블로그에 같이 게시하는 자료이다. 고려사항: 철근부식 개념- 부식은 물질과 이를 열화시키는 환경 조건 사이에서 발생되는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주로 금속 물질이 대상이 된다,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에서 부식이 발생되면 철근은 원래 부피의 2 배에서 4 배 정도에 해당하는 녹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부식은 철근의 표면에 곰보나 구멍을 만들어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강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고려 이유- 콘크리트 구조물은 구조적으로 요구되는 인장력을 높이기 위해 철근을 사용한다. 철근은 동하중, 풍하중, 고정하중, 열순환 등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 및 휨 응력에 대응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