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 4

파일/pdf본문 탐색기 및 MIDAS GEN 철근테이블 시각화 EXCEL

작년 가을에 설계프로젝트 진행하면서 gen table 양식대로 엑셀에서 RC배근 화면 관리할 수 있게 만들어 두었던 EXCEL 프로그램을 올려둔다.   업데이트한 내용을 gen에 바로 입력하거나 gen에서 가져와서 수정 기록 남기며 작업가능하도록 세팅하였다. 보일람표 수정이 잦아야 하는 경우 엑셀데이터로 변경기록 메모 남기면서 해석 input 과 , 문서작성 작업 관리할 때 유용하다.     그리고 최근에 파일 검색기 프로그램을 만들어 둔 것을 코드를 남긴다. 기존 PDF 본문 검색기나 파일 탐색기 등은 여럿 있었는데, 두가지 기능을 같이 포함하면서 손쉽게 전환하면서 사용 가능한 가벼운 프로그램이 없던 탓에 AI를 활용하여 만들어두었다. 아래링크에서 다운 가능하며 동작 방식은 아래 사진으로 남긴다.htt..

개인 일상 2025.02.26

구조 모델링 부분 자동화 예시

오늘은 내 생일이기고하고 퇴근도 일찍하고 일거리도 많이 없는 덕에 오랜만에 간단히 최근 작업 내용 중 일부를 기록으로 남긴다. 기존 구조물에 보강구조물을 부착할 때 모델링 작업 자체가 어려운 부부은 아니지만, 최적 설계를 위해서 여러가지 안들을 비교해보는게 필수적이라 건물 이곳 저곳에 보강 골조를 지웠다가 그렸다가 하는게 시간을 꽤나 잡아먹게 된다. 개인적으로는 node 넘버링과 element 넘버링 관리를 하면서 테이블로 작업을 하면 일반적인 모델 방법보다 시간단축이 많이 되기에 이러한 스킬들을 많이 숙달시킨 편이었고, 내가 평소 작업하던 루틴을 바탕으로 간단한 프로그램화를 진행하여 기존 골조의 좌표 정보를 바탕으로 보강골조를 자동으로 그려주고 기존골조와 신규골조 사이의 링크를 만들어 주는 것 까지 한..

브레이스 강성 유도 (트러스에 대한 이해 심화2)

과거 트러스에 대한 이해에 대해 글을 남긴 적이 있다.  오늘은 이런 개념을 활용해 브레이스 시스템의 강성 유도를 기하학적으로 유도하는 방법을 남겨두려 한다. 물론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에너지법을 이용한 유도과정도 남겼다. 기하학적 유도 과정이 포함되므로 글로 남기기 어려워 수기로 작성한 내용을 찍은 사진으로 대체한다. 사진의 내용에도 포함되는 말이지만, 이러한 기하학적 사고 실험을 통해 구조물이나 시스템을 분석하는 습관은 간략화 시킨 수식에서 생략된 요소들을 발견하기 쉽게하여 간과하기 쉬운 세부적인 조건들을 발견하기 쉽게 해준다. 예를 들어 오늘남긴 유도과정에서 브레이스의 강성 발현에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간과하기 쉬운 요소는 기둥과 같은 수직 방향 강성요소이다. 직접 계산해보면 알 수 있는 내용이지만..

요새 만든 것 중 하나

해당 내용은 원래 작년 여름에 올렸던 내용이고, 이후에 좀 더 다양한 범주로 발전시켜서 개발하려고 했으나, 개인적으로 우선 순위에 있는 다른 것들이 많은 탓에 진행이 안되고 있다. 그래서 혹시라도 관심있는 사람이 있으면 댓글 남기면 해당 파일을 전해주려고 글을 끌어올린다. 해당 자료를 발전시켜서 더 나은 작업물로 전환하고 같이 공유해줄 사람이 있다면 좋겠다.--------------------------------실행 영상과 함께 기록을 남긴다.     best 프로그램을 써본 사람은 공감하겠지만, 디자인+와 다르게 dwg파일 추출 기능이 없는 탓에 간단하게 계산해놓고 접합상세도를 그리는데 한세월이다. 디+과 베스트에서 자동설계 결과가 다른 경우가 있기에 best를 근거로 잡아놓고 디+에서 수동으로 배치..

개인 일상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