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6 2

브레이스 강성 유도 (트러스에 대한 이해 심화2)

과거 트러스에 대한 이해에 대해 글을 남긴 적이 있다.  오늘은 이런 개념을 활용해 브레이스 시스템의 강성 유도를 기하학적으로 유도하는 방법을 남겨두려 한다. 물론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에너지법을 이용한 유도과정도 남겼다. 기하학적 유도 과정이 포함되므로 글로 남기기 어려워 수기로 작성한 내용을 찍은 사진으로 대체한다. 사진의 내용에도 포함되는 말이지만, 이러한 기하학적 사고 실험을 통해 구조물이나 시스템을 분석하는 습관은 간략화 시킨 수식에서 생략된 요소들을 발견하기 쉽게하여 간과하기 쉬운 세부적인 조건들을 발견하기 쉽게 해준다. 예를 들어 오늘남긴 유도과정에서 브레이스의 강성 발현에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간과하기 쉬운 요소는 기둥과 같은 수직 방향 강성요소이다. 직접 계산해보면 알 수 있는 내용이지만..

요새 만든 것 중 하나

해당 내용은 원래 작년 여름에 올렸던 내용이고, 이후에 좀 더 다양한 범주로 발전시켜서 개발하려고 했으나, 개인적으로 우선 순위에 있는 다른 것들이 많은 탓에 진행이 안되고 있다. 그래서 혹시라도 관심있는 사람이 있으면 댓글 남기면 해당 파일을 전해주려고 글을 끌어올린다. 해당 자료를 발전시켜서 더 나은 작업물로 전환하고 같이 공유해줄 사람이 있다면 좋겠다.--------------------------------실행 영상과 함께 기록을 남긴다.     best 프로그램을 써본 사람은 공감하겠지만, 디자인+와 다르게 dwg파일 추출 기능이 없는 탓에 간단하게 계산해놓고 접합상세도를 그리는데 한세월이다. 디+과 베스트에서 자동설계 결과가 다른 경우가 있기에 best를 근거로 잡아놓고 디+에서 수동으로 배치..

개인 일상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