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 거동을 하는 구조물의 해석에 대하여 가장 정확한 해석 방법은 시간이력해석이라는 것은 자명하게 인식된다. 그러나 해석을 진행하는데 드는 시간과, 적합한 하중을 스케일링을 진행하고 구조물에 적용하는 전 과정에 필요한 전반적인 이해력이 일반 실무자들에게 부담이 되기에 다른 여러 해석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은 설계스펙트럼을 이용한 응답스펙트럼 해석과 지진의 동적 하중을 등가 정적하중으로 치환하는 등가정적 해석, 그리고 푸시오버 해석을 비롯한 여러 성능기반설계법 등이 있다. 건축구조기준에서 제시하는 설계 방법 중 가장 보편적인 동적해석은 응답스펙트럼 해석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산업이 발전할수록 건설 재료의 신뢰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있고 전반적인 구조 엔지니어들의 평균 지식 수준이 높아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