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등의 성능설계를 할 때에는 선배들의 발자취를 따라 어느정도 관습적인 방식대로 따라가되 최신의 지침을 추가로 반영하면서 진행을 하곤 하였는데, 반도체 공장 성능설계 프로젝트 등에 참여하면서는 지침만으로 산정되지 않는 점들이 많아 고민과 시뮬레이션을 자주하면서 검증하는 시간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서 기존에는 신경쓰지 않은 부분들이 추가로 보이기에 글을 남긴다. 현 기준 상으로 성능설계를 위해 주로 쓰는 집중소성힌지 모델의 경우 휨강도에 대한 힌지는 부재 양 단부에만 구현된다. 이 경우에 중앙부의 힌지 발생에 의한 파괴매커니즘 검증 대상이 아니게 된다. 현재는 실험적으로 이력거동을 시켰을 때 어느시점을 붕괴시점으로 볼지 단부의 소성변형각을 기준으로 판단하여 기준에서 정의하고 있다. 다만 이것은 중앙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