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질병에 묻힌 여러 이슈들, 분홍찌르레기,가뭄,식량난,온난화,최고기온

2020. 5. 17. 12:58사회,문화

반응형

 내가 블로그를 시작하게 된 계기이기도 하지만 그 질병이 뉴스 기사들을 죄다 잠식해 버려서 사회,문화 이슈에서도 경제, 정치적 내용이 들어있는 내용 혹은 관련 질병 글들만 쓰고 있다. 아무래도 그것이 내가 기록물을 남기는 취지는 아니다 보니 이번에는 그런 것들을 배제하고 사람들의 관심 밖으로 밀린 그 동안의 기사들을 정리하려고 한다. 물론 두서없이 마구잡이 주제로 나열한게 아니라 최근 몇달간의 기사들을 모은 자료 중에 상당히 일관성있게 흘러가고 있는 내용이 있어 꼭 짚어야 할 듯 하여 정리하였다.

처음보는데 나름 귀엽다.

 

http://www.hani.co.kr/arti/animalpeople/wild_animal/942500.html

 

메뚜기떼 창궐 탓? 진객 분홍찌르레기 출현

[애니멀피플]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중앙아시아 초원이 주 서식지…메뚜기떼 늘면 멀리 이동도

www.hani.co.kr

 

 

 우선 국내에서 보기 힘든 분홍찌르레기가 요새 한국에서 여럿 발견되고 있다는 기사이다. 분홍찌르레기는 중앙아시아의 초원이 주 서식지이지만 올해 초부터 아프리카 및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이 급격히 늘기 시작한 메뚜기떼의 이동을 따라 서식지를 넓혀가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주장이 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776491

 

성경속 그 재앙···20배 세진 아프리카 메뚜기떼, 코로나보다 더 큰 공포

아프리카 대륙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이어 더 큰 재앙인 메뚜기떼의 2차 습격으로 심각한 식량난을 겪고 있다.

news.joins.com

 

 

 메뚜기떼는 현재 아프리카와 중동지역의 극심한 식량난을 가져다 줄것으로 우려가 되는데, 식량난과 관련해 추가적인 이슈로 올해의 베트남 남부는 최악의 가뭄으로 피해를 받고 있다고 전해진다. 해당 지역은 강의 상류지역에 중국의 발전용 댐 건설로 인해 피해가 심각해 졌다는 보고서가 있지만, 피해의 정도를 떠나 실제 문제의 근본적 원인은 엘리뇨 현상에 의한 서태평양 지역의 강수량 감소가 문제이겠다. 그걸 고려하면 몇년 후에는 극심한 라니냐 현상으로 동남아 지역의 극심한 홍수가 예상된다. 

http://mn.kbs.co.kr/news/view.do?ncd=4363689

 

베트남 메콩강 삼각주 가뭄·해수 유입 비상

베트남 남부 메콩 강 삼각주 지역에 위치한 롱안 성. 비옥한 이곳 메콩 강 농지가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계속되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짠 바닷물이 농경지까지 밀려 들어

mn.kbs.co.kr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china/942086.html

 

중국 댐 때문에 메콩강 하류에 가뭄이?

남중국해 이어 메콩강이 중국-동남아 갈등 불씨로중, 메콩강 상류에 발전용 댐 11개 가동“강수량 줄고, 댐이 물 막아 가뭄 극심해진 것”

www.hani.co.kr

 엘리뇨나 라니냐 현상을 얘기하자면 항상 이상기후와 지구 연평균 기온의 상승 내용이 빠질 수 없는데, 여러 기관들에서 올해 지구의 연평균 온도가 역사상 가장 더울 확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관측치를 내놓고 있다. 

http://www.hani.co.kr/arti/science/future/941478.html

 

올해도 지구는 뜨겁다…‘톱5’ 확률 99.9%

미 해양대기국 예측…1분기 기온 역대 2위사상 최고 2016년 뛰어넘을 확률도 75%

www.hani.co.kr

 

 

 재밌는 점은 한국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2020년에 최악의 더위로 재난적 상황이 닥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한 시나리오 보고서를 내놓았으니 그 보고서가 재조명을 받는데, 해당 시뮬레이션 대로라면 2050년 즈음에는 사회 생활이 가능할지 의문이 들 정도로 상황이 악화 된다.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4072856411

 

2020년 한반도는 '폭염 지옥'

2020년 한반도는 '폭염 지옥', 재난硏 시나리오 보고서 한달간 33도 이상 지속…사망자 1만명 달할 수도

www.hankyung.com

 

 

 지금까지 분홍찌르레기 출현 기사에서 시작하여 세계의 식량난 문제와 지구 환경 변화 및 기온 상승에 대한 기사를 나열해 보았다. 기사들 하나하나씩을 살펴보면 크게 연관이 없는 듯이 보이지만 실제 이 기사들은 인간 문명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경고를 내포하고 있다. 과연 우리는 지속가능한가?

반응형